성지3 단통법이 폐지 될 것 같습니다. 총선이 다가오면서 여러 정책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중에 제가 생각하는 어이없는 법이 있습니다. '도서정가제'와 '단통법'이 두 가지가 있는데 자율경쟁시대에 이 무슨 말도 안 되는 법인지 모르겠습니다. 말도 안 되는 논리로 시장경제를 무시하는 논리로 생긴 악법이라 생각합니다. 그중 하나인 단통법에 관한 폐지가 논의된다고 하니 반가울 따름입니다. 오늘은 단통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단통법이란? 단통법은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을 줄여서 부르는 말입니다. 벌써 10년전인 2014년 10월 1일부터 시행된 통신사업 관련 법률입니다. 말도 안 되는 법을 정하고 어기면 징역 3년이라는 무시무시한 벌도 받습니다. 몇 년간의 수정절차를 걸쳐 지금의 방식으로 정착되었습니다. 단통법 시행전 춘추전국시대에는 진짜 공짜폰.. 2024. 1. 24. 휴대폰을 교체 했습니다. 휴대폰을 사용한 지 만으로 3년이 넘었습니다. 그동안 만족하면서 갤럭시 Z플립 1 모델을 잘 사용하다가 아들이 유튜브를 보다가 던져 버리면서 액정이 깨져 버렸습니다. 3년이란 기간을 처음 쓰기도 했고 조만간 바꾸려고 생각하고 있었으니 큰 고민 없이 교체할 폰을 알아보았습니다. 시리즈로 올렸던 내용들을 기반으로 구매 과정을 적어 보려 합니다. 현재 플립 모델이 Z플립5 모델까지 출시하였습니다. 삼성은 플래그십 모델을 1년에 두 차례 출시 합니다. 바형태로 된 모델 S시리즈와 폴더블 형식의 폴드와 플립이 있습니다. 제가 사용하던 플립을 기준으로 플립 1은 2020년 2월에 출시하였습니다. 특이하게 플립 2가 큰 변화 없이 같은 년도에 출시하여 약간의 혼동이 있지만 그 이후 1년마다 출시하여 3년 만에 플립 .. 2023. 11. 18. 휴대폰 구매 시 공시 지원금, 선택 약정 VS 자급제 어떤 것이 저렴할까요 휴대폰을 구매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통신사를 통하여 약정을 넣고 구매하는 방법과 자급제폰이라고 기계만 구입하여 추후 통신사를 정하여 가입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두 가지의 방법 중 어떤 것이 낫다고 각자의 주장으로 대립되고 하는데 하나하나 따져보며 어떤 방법이 최선인지 생각해 보려 합니다. 우리나라에는 대표적인 통신사가 3군데 있습니다. SK, KT, LG입니다. 이동통신망사업자(MNO), 간단하게 일반 통신사라고 하겠습니다. 그리고 이들 사업자에게 이동통신망을 빌려서 사용하는 가상이동통신망 사업자(MVNO), 더 잘 알려진 알뜰폰이라 지칭되는 업체가 수십 곳이 있습니다. 통신사를 통한 휴대폰구매 일반통신사의 경우 휴대폰과 통신사의 요금제를 결합으로 판매를 진행합니다. 3개의 .. 2023. 9. 1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