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오염수를 오늘 13시에 방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지난 2011년 3월 발생한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에서 동 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발생했던 원자력 발전소 사고가 있었습니다. 이는 체르노빌 원전사고와 같은 최고등급인 7등급 원자력 사고입니다. 이 사고와 관련된 지진과 쓰나미로 약 18,000여 명이 실종되거나 사망하였고, 16만 명 이상이 집을 잃게 되었습니다. (폭발로 인한 사망자는 공식적으로 1명으로 발표했습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과정
후쿠시마 원전은 2011년 최대 진도 7에 이르는 동 일본 대지진으로 폭발하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M 9.1이라는 일본 지진 관측 역사상 최고 규모이며 세계 지진 관측상 4위에 달하는 수준이었습니다. 이후로도 한달간 대규모 여진, 연간으로 소규모의 여진을 몰고 온 대지진입니다. 이때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가 일어났습니다.
최대 규모의 지진으로 인하여 15m에 달하는 쓰나미가 원전을 덮쳤고 이로 인하여 원전은 자동 셧다운 되었습니다. 이로인하여 전력이 중단되어 비상발전체제가 작동됩니다. 원자로 1-4호기가 지하에 있었는데 침수로 인하여 변전 설비 작동이 중단되며 냉각수를 공급하는 순환 펌프 이상이 생깁니다. 이때도 백업용 배터리가 작동해서 8시간의 골든타임이 있었습니다. 그때도 사고의 심각성축소판단 및 보고전달을 누락하는 등 시간을 지체하였고, 부적절한 대책등으로 결국 노심의 온도가 오르며 원자로 4기 중 3기가 폭발에 이르게 됩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수습과정
노심용융은 원자력 발전소 등에 사용되는 노심의 냉각이 안될어 노심의 온도가 올라 노심이 녹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원자력 사고의 가장 심각한 상황으로 노심용융 사고가 발생하면 핵물질이 외부로 노출되기에 매우 심각한 결과를 초래합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도 노심용융에 의한 폭발사고이며 냉각 순환펌프 고장 시에 바닷물을 이용하여 냉각을 시켰다면 폭발까지 일어나지 않았을 텐데 바닷물의 소금등 불순물로 인한 원자로의 손상을 우려한 나머지 대책마련에 주저한 모습으로 최악의 사고가 벌어지게 되었습니다.
오염수의 방류시작
얼마전부터 시끄럽던 오염수 방류를 오늘 시작합니다. 일본은 2021년 보관 중인 후쿠시마 제1원 자력 발전소 오염수에 대한 해양 방류를 결정했고 2023년 8월 24일 1시를 기점으로 방류를 시작했습니다. 최대 130만 톤에 이르는 오염수를 30년에 걸쳐서 방류한다는 계획입니다. 일본 정부는 정화를 하면 세슘등 방사선 물질 62종을 제거할 수 있고 삼중수소(트리튬)의 경우도 일본 규제 기준의 40분의 1 정도의 수준이라며 안전하다고 밝혔다 이렇게 처리한 오염수를 바닷물과 희석하여 해저터널을 통하여 사고해역 1km 앞바다에 방류하게 됩니다. 또한 방류 후에도 삼중수소의 농도를 정기적으로 파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삼중수소의 위험성
오늘 방류되는 오염수의 경우 일본의 주장에 따르면 문제가 없다고 합니다. ALPS로 정화하면 대부분의 방사선 물질이 제거 되고 소량의 삼중수소가 남으나 이것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삼중수소는 우주선 발사에 따른 핵반응으로 대기 중에 약 200g 정도 생성이 되는데 비로 우리나라에 연간 떨어지는 양이 0.4g 정도 됩니다. 또한 우리나라에 원전에서 바다로 방류하는 양도 0.6g 정도 되는데 오염수의 경우 방류하는 양이 0.06g으로 안전하다는 기준을 삼고 있습니다. 의혹이고 심리적인 것이지 큰 문제는 아니라는 주장인 것입니다. 그렇다면 삼중수소는 위험한가?라는 질문이 생기는 데 결론적으로 말하면 크게 위험하지 않다고 합니다. 삼중수소가 몸속으로 유입되면 대부분 2주 이내에 소변으로 배출되며 미량 몸속에 남게 되는데 이 또한 큰 문제는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삼중수소를 큰 문제로 인식되고 다루는 이유는 APLS 정화 과정에서 걸러지지 않고 남는다는 기사 내용으로 부각되어 사람들에게 각인되어 문젯거리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마무리
여기에서도 알 수 있듯이 심리적인 문제가 가장 크다고 생각됩니다. 일단 신뢰를 잃어 버린 후쿠시마산 해산물을 누가 먹고 싶겠고 더 나아가 일본산 아니 전체적인 해산물에 대한 신뢰도가 하락하여 사람들에게 외면을 받게 되는 것이 문제인 것 같습니다. 단기간적으로 미량이라서 안전하다는 발표가 있었지만, 그 물질들이 축적되어 나중에 문제가 될 수도 있지는 않은지 아니면 일본의 발표자료 자체가 신뢰할 수 있는지에 관한 사람들의 심리적 불안이 더해져 더욱 문제라는 것입니다.
이미 무너져 버린 신뢰로 얼마전 뉴스에 나온 해산물시장의 침체에 대한 보도를 보았습니다. 저희 가족은 일본산 해산물은 먹지 않습니다. 주변 지인들 중 일본산을 넘어 해산물 자체를 꺼리는 분도 계십니다. 이번 오염수 방류로 인하여 해산물 구매에 더욱 신중해지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아마 당분간은 해산물 업계에 타격이 예상됩니다. 정말 먹어도 안전한 것인지 오염수 방류로 인한 문제가 없는지에 대한 연구와 구체적인 데이터 발표로 국민들의 신뢰 회복에 힘써야 될 것입니다.
끝
'인생에 도움되는 아이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화폐 잘 사용하고 계신가요 (52) | 2023.08.26 |
---|---|
팁 문화 도입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세요 (60) | 2023.08.25 |
의경제도 다시 부활하나 (66) | 2023.08.23 |
노키즈존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세요 (49) | 2023.08.21 |
다자녀 가구 혜택 3자녀에서 2자녀로 기준 완화됩니다 (78) | 2023.08.19 |